광고
광고
광고

뉴 포커스TV

< 칼럼/마음의 발견> 침묵의 회복을 위하여

박인기(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칼럼니스트)

뉴 포커스TV | 기사입력 2024/08/09 [17:17]

< 칼럼/마음의 발견> 침묵의 회복을 위하여

박인기(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칼럼니스트)
뉴 포커스TV | 입력 : 2024/08/09 [17:17]

1.

‘침묵’이란 말을 내 상상력 속에서 매우 장엄한 의미로 길어 올리게 한 독서가 있었다. 그것은 작가 이문열의 중편소설 <들소>를 읽을 때이었다. 이 소설은 어느 페이지에도 작가나 주인공이나 침묵을 직접 거론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내 상상 안에서 그 ‘침묵’이 뚜렷하게 느껴졌다. 작품 <들소>의 주제는 소설의 뒷부분에서 드러나는데, 나는 주인공 ‘착한 마루’의 깊고 길고 짙은 침묵을 또렷한 상상으로 대면하였다.

▲     ©박인기 교수

 소설 <들소> 이야기를 조금만 해 보기로 하자. 알타미라 동굴 벽에 새겨진 벽화 ‘들소’가 이 소설 <들소>의 원래 소재이다. 그 까마득한 석기 시대에 새겨졌을 동굴 벽화 ‘들소’의 내력을 작가가 비상한 상상의 역량으로 되살려 놓은 작품이다. 어떤 측면에서 보면, 이 소설은 ‘위대한 예술(또는 예술가)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설명을 석기 시대 인류의 모습을 배경으로 삼아 소설로써 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주인공 ‘착한마루’는 섬세한 예술적 재능이 있지만, 근육질의 남성은 아니다. 그는 원시 부족 사회가 일상으로 영위하는 사냥과 전투에서 자주 패배한다. 사냥이 일상화된 사회에서, 야생의 들소를 잡는 일이 남자들의 엄숙하기까지 한 과업이다. 그 사회에서는 사냥에 성공하는 남자가 영웅이다. 반대로 사냥에서 잡을 소를 놓치는 자는 공동체에서 음울하게 배제된다. 들소를 잡는 자야말로 가장 영광스러운 성취에 도달한 자로 인정받는 사회이다. 부족(部族)의 힘 센 권력자는 힘의 상징인 ‘소’를 자신이 추구하는 절대적 가치, 즉 권력의 상징으로 삼는다.

이런 부족 사회에서 약한 착한마루가 보여주는 무능한 전투력은 딱하고 안쓰럽다. 사냥에서 몰락한 ‘착한마루’는 ‘소에게 밟힌 자’라는 모욕적인 이름을 얻는다. 그는 감옥과도 같은 동굴에 격리된다. ‘착한마루’는 오로지 육체의 힘만이 유효한 원시 부족 사회에서 밑바닥 약자이다. 그의 인생은 부족들 간 권력 투쟁의 온갖 음모 속에서 휘둘리면서 바닥으로 떨어진다. 권력에서 차갑게 소외되고, 평생 모멸과 결핍 속에서 혹독한 운명을 감내해야 한다.

그가 연모를 품었던 여인 '초원의 꽃'은 그를 떠나 힘센 권력자에게 가버린다. 그녀는 말한다. 내가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소’로 상징되는 권력이라며, 권력이 그녀에게 베푸는 ‘편하고 풍족한 삶’을 자기는 찾아가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녀는 착한마루에게 말한다. 네가 추구하는 소가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너에게도 그 소가 반드시 있을 거라고 말하며, 그를 떠나간다.

주인공 착한마루는 모든 것을 잃고 참담하게 무너진다. 그는 권력도 재물도 없다. 사랑하던 여인은 현실의 권력자에게 가버렸다. 아, 나는 나의 존재를 위하여 무엇을 할 수 있단 말인가. 나의 소는 어디에 있는가. 좌절과 상실의 극단에서 그는 자신의 존재가 구원될 수 있기를 갈망한다. 나를 구원의 자리로 떠밀어 올리는 내 내면의 추구는 무엇인가. 그는 자신만의 소를 영원히 잡을 수 있는 자리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현실을 떠나기로 한다. 그가 한때 사냥의 실패자로서 비난과 조롱을 받으며 격리되었던 동굴로 들어간다. 그는 동굴로 갔다. 그의 존재론적 고뇌는 무겁고 처연하게 동굴 안으로 잠겨 들었으리라.

여러 수만 년의 세월이 흘렀다. 후세 사람들이 그 동굴에서 영원히 불멸하는 소를 찾아내었다. 그것은 동굴 벽에 그려진 벽화 ‘들소’이었다. 알타미라 동굴 벽화 ‘들소’이었다.

 

2.

주인공 착한마루는 이 동굴에서 혼신의 힘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소를 그렸을 것이다. 그에게 소는 무엇이었을까. 그가 동굴 벽에 그리려고 한 소는 그에게는 ‘의지의 표상’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그 소는 잃어버린 사랑을 영원한 열망으로 소생시키는 상징이었을 것이다. 연모했던 여인 ‘초원의 꽃’에게 바치는 헌화와도 같은 것이었을까. 동시에 그 소는 자기 존재의 영원한 연장(extension)이었을 것이다. 그에게 그 소는 고매한 권력(power)이었을 것이다. 추악한 세속의 권력이 아니라, 내면에서 스스로 거룩함을 향하는 그런 고상한 권력을 표상하는 것이었으리라. 그리하여 그에게서 소는 신앙이 되었을 것이다.

‘보편의 힘’으로 인류를 공감시키는 예술은 그 탄생의 내적 프로세스를 이렇게 보유하는 것인가. 그 프로세스 안에서 예술가는 어떻게 정신적 긴장을 집중해 나갔을까. 이 동굴에서 작업하는 동안 주인공은 어떤 의지와 정신세계를 유지했을까. 그 부분을 생각하면 예술가를 향한 일종의 경외감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침묵’이란 말을 내 상상력 속에서 매우 장엄한 의미로 길어 올리게 한 대목은 주인공 ‘착한마루’가 동굴에 들어와서 들소 벽화를 그려나가는 장면이었다. 들소 벽화를 그려나가는 그의 마음 내부에서 나는 그의 견고한 침묵을 보았다. 물론 이 침묵은 내 상상력 공간에서 내가 떠올린 것이다. 그의 의지가 굳어질수록, 예술 행위의 가치가 명료할수록, 그의 침묵은 그의 내면에서 더욱 빛나는 것을 나는 보았다. 침묵이 안에 있는 어떤 거룩함을 보았다고나 할까.

침묵에 관한 이야기라면 이탈리아 화가 살바토르 로사(Salbator. Rosa 1615-1673)의 전언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그림 ‘자화상’ 속 인물은 깊은 우울과 회의와 수심이 표정으로 나타나 있다. 이 자화상 그림에서 그는 선언의 글이 적힌 베이지색 서판을 손에 움켜쥐고 있다. 이 서판에는 “AUT TACE, AUT LOQUERE MELIIORA, SILENTIO”라고 적혀 있다. 번역하면 “침묵하라, 아니면 침묵보다 더 나은 것을 말하라.”라는 뜻이라고 한다.(문광훈, ‘심미주의 선언’ 28쪽)

 

▲     ©Salvator Rosa 자화상

[Italian Baroque Era Painter, 1615-1673]

18세기 프랑스에서 세속 사제로 활동했던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 신부가 쓴 고전으로, 『침묵의 기술』이란 책이 있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있다. 디누아르 신부는 14가지 침묵의 원칙을 말하는데, 그 중 첫 번째 원칙은 “침묵보다 나은 할 말이 있을 때만 입을 연다.”이다. 이는 살바토르 로사의 자화상에 그려진 문구와 같은 말이다. 그러니까 유럽에서는 일찍이 침묵에 대한 통찰로서 이런 잠언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영국의 비평가인 토머스 칼라일(Thomas Carlyle, 1798-5-1881)이 말한 “웅변은 은이요, 침묵은 금이다 (Speech is silver, silence is gold)”라는 말도 이런 통찰의 계보에 속한다. 침묵보다 더 나은 것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3.

“사람이 말하는 것을 온전하게 배우는 데는 5년 정도 걸리지만, 침묵을 배우는 데는 50년도 더 걸린다.” 침묵이 얼마나 높은 수준의 인격 내공을 요하는 것인지, 또 얼마나 의미 깊은 사회적 실천의 일종인지를 보여주는 묵시록 같은 진술이다.

세상은 침묵은커녕 옴짝 없는 소음의 시대이다. 댓글은 아귀의 다툼 같다. 저주의 넋두리들이 좀비의 주억거림 같이 소셜 미디어를 가득 채운다. 항의나 저항의 말들은 욕설할 수 있는 특권이라도 부여받은 양, 오염되고 부패한 감정의 쓰레기들을 배설해 놓는다. 쓰레기 언어들이 소통의 골목마다 가득 쌓여 있다. 치우고 치워도 금방 더 쌓인다. 침묵은 서 있을 자리조차 없다. 침묵은 사전에만 있는 말이 되어버렸다.

혜민 스님의 선언이 돋보인다. “여러 가지 부족한 제가 트위터를 하게 되면서 너무 많은 말을 했던 것이 아닌가,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당분간 묵언수행(黙言修行)을 하면서 부족한 스스로를 성찰하고 마음을 밝히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말 많은 정치인들이 좀 따라했으면 좋겠다. ‘묵언수행’을 하겠다면서 자신이 묵언수행 한다는 말을 너무 많이 퍼트린다. 묵언수행도 홍보용으로 전락한다. 나의 글쓰기에도 반성이 가닿는다. 침묵을 이렇듯 번다히 말하는 것이야말로 침묵을 욕되게 하는 것이란 생각을 떨칠 수 없다.

말하기를 가르치는 모든 학교마다 최종 마당에 ‘침묵 배우기’를 꼭 넣었으면 좋겠다.

- 박인기 저 『짐작』(2024) 중에서, 일부 내용 수정함

 

 

  • 도배방지 이미지